반응형
4831. [파이썬 S/W 문제해결 기본] 1일차 - 전기버스 D3
연관문제
2021.04.21 - [Algorithm] - SWEA 5208 전기버스2 (python)
문제
A도시는 전기버스를 운행하려고 한다. 전기버스는 한번 충전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정류장 수가 정해져 있어서, 중간에 충전기가 설치된 정류장을 만들기로 했다.
버스는 0번에서 출발해 종점인 N번 정류장까지 이동하고, 한번 충전으로 최대한 이동할 수 있는 정류장 수 K가 정해져 있다.
충전기가 설치된 M개의 정류장 번호가 주어질 때, 최소한 몇 번의 충전을 해야 종점에 도착할 수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드시오.
만약 충전기 설치가 잘못되어 종점에 도착할 수 없는 경우는 0을 출력한다. 출발지에는 항상 충전기가 설치되어 있지만 충전횟수에는 포함하지 않는다.
[예시]
다음은 K = 3, N = 10, M = 5, 충전기가 설치된 정류장이 1, 3, 5, 7, 9인 경우의 예이다.
[입력]
첫 줄에 노선 수 T가 주어진다. ( 1 ≤ T ≤ 50 )
각 노선별로 K, N, M이 주어지고, 다음줄에 M개의 정류장 번호가 주어진다. ( 1 ≤ K, N, M ≤ 100 )
[출력]
#과 노선번호, 빈칸에 이어 최소 충전횟수 또는 0을 출력한다.
풀이
T = int(input())
def bus(info_numbers,charger):
# 각각의 정보에 접근
K = info_numbers[0]
N = info_numbers[1]
M = info_numbers[2]
# 충전기 수 자체가 부족할 경우
if N//K >M:
return 0
# 충전기 정보를 표현해주기 위한 초기값
counter = [0]*N
# 충전기 정보를 받아와 1로 표시
for number in charger:
counter[number] = 1
# 현재위치 now
now = 0
# 목적지 goal
goal = N
# 충전 횟수 count
count = 0
# now가 goal보다 작다면 => goal에 도작하지 않았다면
while now < goal:
# 다음위치 now == 현재위치 + 최대갈수 있는거리
after = now + K
# 다음위치가 goal에 도착하거나 넘는다면 멈추기
if after >= goal:
break
# now~after 사이의 정류소 리스트 between
between = counter[now:after + 1]
charge = 0
# between을 돌면서 인덱스와 값(충전소가 있다면 1) 가져오기
for idx, i in enumerate(between):
# 충전기가 있다면 1, 따라서 if문 통과 => between중에서 제일 마지막 충전기 위치 찾기
if i:
charge = idx
# 충전기 없으면 이동 불가
if charge == 0:
count = 0
break
now += charge
count += 1
return count
for tc in range(1, T+1):
# K,N,M 정보가 담긴 리스트
info_numbers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
#충전기 정보
charge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# 결과
result = bus(info_numbers, charger)
print("#{} {}".format(tc, result))
반응형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WEA 4835 구간합 (python) (0) | 2021.04.19 |
---|---|
SWEA 4834 숫자카드 (python) (0) | 2021.04.19 |
SWEA 4828 min_max (python) (0) | 2021.04.19 |
SWEA 5188 최소합 (python) (0) | 2021.04.19 |
SWEA 4837 부분집합의 합 (python) (0) | 2021.04.19 |